북한에서 지난달 27일 이송돼 온 미군 전사자 유해 55구를 미국으로 보내는 유해 송환식이 잠시 뒤 오산 미 공군기지에서 열립니다. <br /> <br />유해 송환식에는 송영무 국방부 장관,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 등 한미 양국 관계자 5백여 명이 참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송환식이 끝나면 유해는 곧바로 하와이로 이송될 예정인데요, 현장 연결해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유해 송환식은 1시간 가량 진행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6·25 때 전사한 미군 유해 55구는 지난달 27일 북한지역인 강원도 원산에서 이 곳으로 옮겨졌습니다. <br /> <br />미 수송기가 원산까지 날아가 유해를 싣고 왔는데요, 다시 이 유해를 미군 대형 수송기가 하와이 히캄 공군기지로 옮기게 됩니다. <br /> <br />히캄 기지에선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미군 유해를 직접 맞이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미군 유해송환은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북미정상회담 합의에 따른 것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두 정상은 공동성명에 신원이 이미 확인된 전쟁포로, 전쟁실종자들의 유해를 즉각 송환하는 것을 포함해 전쟁포로, 전쟁실종자들의 유해 수습을 약속한다고 명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북미 양측은 지난달 15일과 16일 판문점에서 미군 유해송환과 관련해 장성급 회담과 실무회담을 각각 개최해 미군 유해 55구를 정전협정 체결일인 7월 27일 항공편으로 송환하기로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1990년 이후 송환된 미군 유해는 629구로 알려졌는데요, 미국은 이번에 추가로 송환된 유해에 대한 신원 확인 절차를 거쳐 유가족에게 인계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유엔군사령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전쟁 때 돌아오지 못한 전우들을 미국민은 절대로 잊지 않았다면서 앞으로도 전사자와 실종자 수색을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유엔사는 장진호 전투 지역과 비무장지대 등 6·25 전쟁 주요 격전지, 또 전쟁포로 수용소가 있던 지역 등에 약 5천여 구의 미군 유해가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80117055492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